전체 글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30.왕자의 난과 태종 이방원의 권력 장악 1. 태종 이방원의 성장과 고려 말 혼란기 고려 말, 조선 초의 격변기 속에서 태종 이방원(李芳遠, 1367~1422)은 역사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그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학문과 무예를 익히며 지도자로서 자질을 키웠다. 이방원의 성장 과정은 당시 고려 사회의 혼란과 맞물려 있었다. 원 간섭기 이후 고려의 왕권은 약화하였고,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간의 갈등이 극심했다. 고려 왕실은 권력 투쟁과 외세의 간섭으로 흔들렸으며, 민중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신흥 세력인 신진사대부와 무인들이 조선을 건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방원 역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었고, 그의 정치적 행보는 새로운 왕조의 운명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 29.태조 이성계의 출생과 성장 배경 – 고려 말 혼란 속에서 태어난 영웅 1. 태조 이성계의 출생과 성장 배경 – 고려 말 혼란 속에서 태어난 영웅 태조 이성계(李成桂, 1335~1408)는 고려 말기인 1335년, 현재의 함경도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원나라와 고려 사이에서 세력을 키운 변방의 유력 가문으로, 특히 그의 아버지 이자 추는 쌍성총관부 지역에서 군사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고려로 귀순한 인물이었다. 이성계는 어릴 때부터 군사적 재능을 보이며 성장하였으며, 몽골과의 전쟁이 잦았던 북방에서 실전 경험을 쌓았다. 고려 후기는 몽골(원나라)의 간섭이 약해지고, 반면 명나라가 새로운 강대국으로 떠오르면서 국제 정세가 크게 변화하는 시기였다. 동시에 고려 내부에서는 권문세족의 횡포와 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인해 정치·사회적 혼란이 극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성계는 군.. 28.공민왕의 반원 자주 정책 – 고려 독립을 위한 노력 1. 공민왕의 즉위와 시대적 배경 – 고려 말의 혼란과 개혁의 시작 공민왕(恭愍王, 1330~1374년)은 고려 제31대 왕으로, 1351년(충정왕 3년)에 즉위하였다. 그의 즉위 시기는 고려가 원나라의 간섭을 심하게 받던 시기로,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압력이 극심했다. 원나라의 세력은 고려 내부에 깊이 뿌리내렸고, 친원 세력은 국정을 장악하고 있었다. 동시에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이 잦아 국가의 방어력이 취약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공민왕은 즉위와 동시에 원나라의 간섭을 배제하고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려는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공민왕은 즉위 직후 친원 정책을 폐기하고 반원 개혁을 단행하였다. 먼저 원나라의 연호 사용을 중단하고, 친원파로 알려진 기철(奇轍) 등의 세력을 숙청했다. 또한.. 27.충렬왕의 즉위와 고려 원 간섭기의 시작 1. 충렬왕의 즉위와 고려 원 간섭기의 시작 충렬왕(忠烈王, 1236~1308)은 고려 제25대 왕으로, 고려가 몽골(원)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던 시기에 즉위했다. 그의 즉위는 단순한 왕위 계승이 아니라, 원나라의 간섭이 본격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충렬왕은 원 세조 쿠빌라이 칸의 외손녀인 제국대장공주와 혼인하면서 고려 왕실과 원 황실의 혼인 정책을 따랐다. 이는 고려가 원의 부마국(駙馬國)으로 편입되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고려는 원의 영향을 받는 속국으로써 군사적, 정치적 압박을 받았으며, 충렬왕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야 했다. 즉위 이후 그는 원나라의 명령을 따라 개혁을 진행했지만, 동시에 고려의 자주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 26. 몽골의 침략과 강화도로의 천도 1. 고려 제23대 왕, 고종의 즉위와 시대적 배경 고려 제23대 왕인 고종(高宗, 1192~1259)은 고려 역사에서 가장 격동적인 시기에 즉위한 군주였다. 그는 희종(熙宗)의 뒤를 이어 1213년에 왕위에 올랐지만, 그의 통치는 실질적으로 최 씨 정권의 강한 영향력 아래 이루어졌다. 특히 최충헌(崔忠獻)과 그의 아들 최우(崔瑀)가 권력을 장악한 채 고려의 정치를 좌우했기 때문에, 고종은 왕권이 극도로 약화한 상태에서 왕좌에 올랐다. 당시 고려는 내부적으로 문벌 귀족 사회의 붕괴와 무신정권의 강압적인 통치가 이어지고 있었고, 외부적으로는 몽골 제국의 압박이 점점 거세지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시대적 배경 속에서 고종은 명목상의 왕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으며,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 25.인종 시대의 대외 관계와 여진 문제 1. 고려 인종의 즉위와 정치적 배경 고려 제17대 왕인 인종(仁宗, 1109~1146)은 고려의 중기 정치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만든 인물이었다. 그는 1122년, 아버지 예종(睿宗)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당시 고려는 문벌 귀족 중심의 정치 구조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인종의 즉위 초반에는 외척 세력이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특히 그의 외할머니였던 문하시중 이자의 부인이 정치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인종이 성년이 되면서 왕권 강화를 위해 외척 세력을 견제하려고 시도하게 된다. 인종 시대의 정치적 특징은 왕권과 문벌 귀족 간의 균형 유지가 있었다. 고려의 문벌 귀족들은 오랜 세월 동안 권력을 누려 왔으며, 인종 역시 이들과 협력하면서도 왕권을 약화하지 않기 위해 신중한 정책을.. 24.예종의 문화 및 학문 진흥 정책 1. 예종의 즉위와 고려 왕권 강화 노력 고려 제16대 왕인 예종(睿宗, 10791122, 재위 11051122)은 문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고려 왕권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 군주였다. 그의 즉위는 단순한 왕위 계승이 아니라 고려의 정치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예종은 즉위 직후부터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를 위해 숙위(宿衛) 체제를 개편하고 중앙 및 지방 행정 체제를 정비하는 등 다양한 개혁을 시도했다. 당시 고려는 문벌 귀족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한 사회 구조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예종이 추진한 개혁은 단순히 왕권 강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보다 안정적인 국가 운영을 위한 것이었다. 특히 예종은 왕권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를 등용하는 데 힘썼다... 이전 1 2 다음